•  
  •  
  •  
  •  
  •  
  •  
  •  
  •  
  •  
  •  
분류
정현수님의 서버
Server of Hyonsu
파일:채널프사.jpeg
개설일
7월
구독자
12명[1]
링크

1. 개요2. 채널 관리자3. 영상 목록
3.1. 2025년
3.1.1. 경그리버드3.1.2. 정현수모발분석3.1.3. 드럼통3.1.4. 싸이버거3.1.5. 토마토마라크림분모자계란파스타.mp43.1.6. 남자임3.1.7. 3년 내공 스타보드?! 유즈가 한잔 말아드립니다
4. 여담

1. 개요 [편집]

정현수님의 서버 채팅을 짜집기해 만드는 이슈왕뻑가뉴스와 같은 공식에서 운영하는 사이버 렉카 채널이다.

2. 채널 관리자 [편집]

3. 영상 목록 [편집]

3.1. 2025년 [편집]

3.1.1. 경그리버드 [편집]


기적의 검과 같은 싸구려 게임 광고 영상이다. 광고가 공개된 직후, 커뮤니티에서는 “이거 중국산 양산형 게임 광고 따라 하다 뇌절 온 거 아니냐”는 반응이 쏟아졌다. 광고는 의도적으로 조악한 그래픽과 오타를 넣어 중국 모바일 게임 광고 패러디’라는 컨셉을 강조했으나, 문제는 너무 잘 재현해버린 나머지 실제 사기성 광고로 착각한 이용자들이 앱 스토어에 신고를 넣는 사태가 벌어졌다.

특히 자막 중 “이거 못 깸? 너 뇌 없는거임ㅋㅋ”이라는 문구와, 주인공 새가 “와이프 뺏겼다 복수한다”라는 이해할 수 없는 스토리라인으로 진행되는 부분에서 혼란이 극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이거 중국에서 역수입해간 거 아니냐”, “앵그리버드도 울고 간다”는 비아냥이 나왔다.

논란이 커지자 개발팀은 “패러디 의도였다”는 해명문을 SNS에 올렸지만, 되려 “중국산 광고의 영혼까지 구현한 리얼리즘”, “패러디라면서 진심으로 만든 느낌”이라는 조롱 섞인 칭찬(?)이 이어졌다. 결국 해당 광고는 조회수 100만 회를 돌파하며 본 게임보다 광고가 더 유명해지는 기묘한 상황이 발생했다.

3.1.2. 정현수모발분석 [편집]



유튜브 채널에서 〈정현수모발분석〉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업로드되면서 논란이 발생했다. 영상 제목과 썸네일에는 “국내 최고 전문가 초빙! 정현수 모발 상태 분석”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지만, 정작 정현수는 누가 봐도 머리가 없는 상태였다. 이로 인해 영상 클릭한 시청자들은 시작부터 어그로에 낚였음을 직감했다.

영상 내용은 더 가관이었다. 전문가라고 소개된 인물은 사실 친구였고, 대화는 “네가 머리카락이 있으면 이런 상태일 거다”라는 가상 시뮬레이션 토크로만 채워졌다. 결론은 “모발이 없어서 분석할 게 없다”였다. 시청자들은 “모발분석이 아니라 모발부재 인증”, 전문가 초빙 = 머리 전문가가 아니라 머리 없는 사람 전문가”라며 비난을 퍼부었다.

3.1.3. 드럼통 [편집]


  • 자세한 내용은 유즈/논란 및 사건사고이재명 현 대통령 비하 논란 문단 참조. 해당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상이다.

3.1.4. 싸이버거 [편집]



파링싸이버거 영상은 2025년 6월 업로드된 콘텐츠로, 유저 코이가 닉네임을 강제로 파링싸이버거로 변경당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영상의 중심 소재는 닉네임 개명 과정에서 생긴 해프닝과, 싸이의 영어 표기법을 둘러싼 논쟁이다.

코이는 원래 자신의 닉네임을 유지하려 했으나, 특정 커뮤니티 규칙과 필터링 문제로 인해 이름이 강제로 파링싸이버거로 변경되었다고 주장했다. 이후 영상에서는 이 개명 과정을 설명하면서, 싸이(PSY)의 영어 표기 방식과 연관된 논리를 꺼내며 이야기가 확장된다. 영상 속에서 코이는 “싸이도 PSY인데 왜 우리에겐 발음 그대로 표기를 강요하느냐”는 주장을 펼치며 논쟁의 방향을 의도적으로 넓혔다.

영상은 단순한 설명에서 끝나지 않고, 중간중간 억지 논리와 개그성 편집을 섞어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로 인해 시청자들은 내용보다 상황 자체의 황당함에 주목했고, 커뮤니티에서는 “싸이버거에서 싸이 표기 논쟁이 나온다고?” 같은 반응이 이어졌다. 이후 일부 이용자들은 해당 논리를 패러디해 햄버거 명칭 분석이나 파링 관련 가짜 학문을 만든 밈을 확산시켰다.

3.1.5. 토마토마라크림분모자계란파스타.mp4 [편집]



2025년 7월, 유저 산수가 진행한 파스타 실험이 커뮤니티 전역을 뒤흔든 논란으로 번졌다. 사건의 발단은 산수가 흑백요리사라는 유명 콘텐츠에서 영감을 받아, 독창적인 파스타를 만들겠다며 시도한 요리였다. 그러나 그가 선택한 재료는 마라, 크림, 계란, 딸기, 새우, 통 토마토였다. 이 조합이 공개되자마자 시청자들은 이미 불길한 예감을 감추지 못했다.

결과는 예상보다도 더 참혹했다. 산수는 조리 과정에서 재료 간 조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조리법 또한 엉망이었다. 크림은 분리돼 기름이 뜨고, 계란은 덩어리져 굳었으며, 마라의 강한 향과 딸기의 단맛이 충돌해 끔찍한 맛을 만들어냈다. 결국 완성된 파스타는 보기에도 괴상한 형태였고, 시식 후 산수 본인조차 “이건 음식이 아니다”라는 발언을 남겼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요리를 망친 것뿐만 아니라, 산수가 사용한 고급 재료 대부분이 그대로 버려졌다는 사실이 영상에서 드러나면서 비판이 폭발했다. 커뮤니티에서는 “이건 창의가 아니라 음식 테러”, “흑백요리사에 대한 모욕”이라는 의견이 줄을 이었고, 일부는 “식재료 학살 사건”이라는 조롱 섞인 별칭까지 붙였다. 이후 각종 게시판에는 해당 장면을 편집한 패러디 영상과 밈이 올라오며 사건은 더 크게 확산되었다.

3.1.6. 남자임 [편집]



2025년 8월, 유즈가 올린 영상 ‘남자임’이 공개 직후 거센 논란에 휩싸였다. 제목부터 정체불명의 선언으로 관심을 끌었지만, 실제 영상은 유즈가 그동안 발생한 각종 사건사고에 대해 해명한다는 내용이었다. 문제는 사건사고의 양이 너무 많아 영상 내내 유즈가 리스트를 읽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쓴다는 점이었다.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이건 해명 영상이 아니라 사건 정리 브이로그”라는 비아냥이 나왔다.

더 큰 논란은 사과의 태도였다. 유즈는 각 사건을 언급할 때마다 “그때는 좀 그랬다”, “내가 조금 잘못했다” 정도로만 넘어갔고, 구체적인 책임 인정이나 재발 방지 언급은 없었다. 일부 발언은 아예 변명처럼 들려, 댓글창은 “이게 사과냐”, “남자임? 꼬추 떼라” 같은 조롱으로 도배됐다.

영상의 썸네일 또한 논란을 키웠다. 유즈가 여장한 사진을 썸네일로 사용하며 시선을 끌었는데, 이는 많은 시청자들에게 주제와 맞지 않는 선정적 장치라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이 영상은 해명은커녕 유즈의 이미지 실추를 가속화했고, 커뮤니티에서는 “유즈 사건사고 컬렉션”, “사과를 가장한 자기소개서”, “썸네일 장난사건”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3.1.7. 3년 내공 스타보드?! 유즈가 한잔 말아드립니다 [편집]



‘3년 내공의 스타보드?! 유즈가 한잔 말아드립니다’는 2025년 중반에 공개된 유튜브 영상으로, 크리에이터 유즈가 정현수의 서버 스타보드 기록을 기반으로 제작한 콘텐츠다. 영상의 핵심은 서버 내에서 발생한 다양한 발언과 사건을 스타보드 형식으로 모아 보여주고, 이를 유머러스하게 편집하여 전달하는 데 있다.

영상에는 정현수의 대표적인 발언과 커뮤니티에서 회자된 문장들이 등장하며,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발언의 맥락과 상황을 짧게 설명하거나 효과음을 곁들여 코미디적 요소를 강조한다. 유즈는 이를 통해 “3년 동안 쌓인 서버 내 사건·발언의 집대성”이라는 콘셉트를 내세웠으며, 영상 길이 내내 연속적으로 스타보드 클립이 재생되도록 구성했다.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영상을 보고 서버 내 스타보드 문화를 다시 한번 회상하거나, 유머러스하게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소비되었다. 일부 장면은 밈으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영상 제목에 등장하는 ‘한잔 말아드립니다’라는 표현은 유즈 특유의 캐주얼한 어조와 편집 스타일을 보여주는 상징적 문구로 자리잡았다.

영상은 정현수의 서버 활동 기록을 그대로 전달하면서도, 유즈 특유의 편집과 유머 감각을 입혀 단순 기록 이상의 엔터테인먼트적 가치를 가지는 콘텐츠로 평가된다.

4. 여담 [편집]

[1] 8월 26일 기준